TCP, IP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개념
TCP/IP
-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TCP/IP 프로토콜 슈트라고도 불린다.
- 인터넷이 시작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사용하는 통신규약이다.
- TCP는 전송 조절 프로토콜을 의미하고 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 TCP/IP를 사용한다는 것은 IP주소체계를 따르고 IP 라우팅을 이용해 목적지에 도달아며 TCP의 ㅈ특성을 활용해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고 신회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 쉽게말해 TCP/IP는 송신자가 IP 주소를 이용해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고 이 데이터가 잘 전달 되었는지 속도는 괜찮은지, 제대로 수신했다고 피드백이 오는지에 관한 것이다.
TCP/IP 4계층 모델
| 계층 | TCP/IP 4계층 모델 | 주요 프로토콜 | 역할 | |—|—|—|—| | 4계층 | 응용계층 | HTTP, DNS, FTP 등등 |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계층 | | 3계층 | 전송 계층 | TCP, UDP,..| IP와 어플리케이션을 연결해 데이터를 전송| | 2계층 | 인터넷 계층 | IP, ICMP, ARP, RARP | 네트워크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 | 1계층 | 네트워크 접근 계층 | Ethernet, wifi, … |컴퓨터가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케이블 등) 연결되어 기기간 데이터 전송 |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은 노드간의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이다.
- OSI의 7 계층의 물리(physical) 계층과 데이터(data) 계층에 해당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물리, 데이터 계층에서 사용되는 MAC 주소가 이 계층에서 사용된다.
- Mac주소란? 간단히 말하자면 인터넷을 하기 위한 이더넷 기반 기기마다 하나씩 할당되어 있는 고유 ID이다. 총 4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의상 8비트씩 6자리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AB-CD-EF-12-34-56 같은 형식.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