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노트
프로토콜: 약속, 서로간에 주고 받는 코드들을 어떻게 구성할지, 작성할지에 대한 약속
SMTP 이메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FTP 파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쿠키: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데이터 세션: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 DB가 아님
쿠키는 보안상 중요한 내용을 담지는 앟는다. VoIP: Voice over IP - 카카오에서 전화걸기에 사용하는 기술, IP에 음성을 싣는 방법. 음성을 데이터화하고 다시 음성으로 바꾸는 기술.
VoIP는 UDP와 관계 TCP는 정확한 데이터는 보내는데 집중 UDP는 스트리밍 데이터 전달을 목표로 함.
압축은 무손실, 손실의 개념이 있는데 무손실은 zip으로 압축헀는데 일부가 깨지면 풀어도 사용 불가 손실은 특히 영상은 파일이 약간 깨져도 영상을 볼수는 있음. 물론 퀄리티는 조금 빠지겠지만(약간의 byte). 물론 이를 위한 보정 기술로 보완할 수 있다.
port는 항구의 개념 ip가 한국이면 인천항 부산항, 여수항 등을 의미한다.
FTP는 21 포트를 웹서버는 80 포를 주로 사용로 해당 정보가 80포트로 들어오면 이를 받아 처리한다.
netstate-n:서버 컴퓨터 포트관련 검색해볼 것
라우팅: ip를 찾아가는 경로를 의미. 라우터: 전달을 위한 목적으로 존재.
IPv4 IPv6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모든 서버가 public IP를 갖지는 않는다. 각 서버는 private IP를 사용하는데 (퍼블릭보다 싸고 보안에 유리) private IP를 이용하면 웹 서비스 제공 못함. NAT는 prviate IP를 public IP로 변환해 준다.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dos창에서 사용하는) ipconfig: 자신의 컴퓨터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ping: ping + “ “ + IP주소 ->해당 컴퓨터에서 응답을 보내준다. 이 컴퓨터가 돌아가는지를 확인 trancert : trancert + url : 해당 url로 가는 라우팅 정보를 준다. 예로 해당 url이 안 될 때 이유를 체크하기 위해 nslookup: + 도메인명 DNS 서버 조회에 사용되며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응듭해준다.
이더넷: 통신 규약, 가장 물리적 하단에 있는 접속에 관련된 통신규약 허브: 라우터는 경로를 탐색하고 찾아가는 기술이라면 여러 서버들을 서로 묶어주고 연결해주는 장치 및 개념
Hash : 예로 주민번호의 경우 이를 DB에 바로 저장하지 않는다면 해쉬 테이블을 통해 주민번호를 다른 글자로 변환을 하고 이 변환할 글자를 DB에 저장한다. 하지만 복호화는 못한다 다른 결과가 들어왔을 때 이 값이 이전에 입력한 주민번호와 동일한지를 직접 확인은 못한다. 그냥 다른 주민번호가 들어왔을 때 이전값과 같은지를 해쉬 테이블로 다시 해싱해서 같은지만 알 수 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