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JAVA

트랜잭션

3 분 소요

트랜잭션(Transaction) 실행할 여러개의 질의(Query)를 하나의 단위(트랜잭션)으로 묶어주고 이것들이 모두 한번에 실행하는 것이다. 여러가지 작업을 한번에 실행하던 도중 발생할 예외에 대비해 수많은 작업을 하나로 묶고 이를 A~Z까지 모두 처리한 후에야 작업이 ...

저수준 vs 고수준 언어

최대 1 분 소요

저수준 언어과 고수준 언어 간단히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에 가까울 수록 저수준, 인간의 언어와 가까울 수록 고수준 언어라고 한다.

스냅샷이란??

2 분 소요

스냅샷 “과거 한 때 존재하고 유지시킨 컴퓨터 파일과 디렉터리의 모임” 사전적 정의는 이러하다 특정 시간의 저장장치 상태를 사진처럼 보관하고 원본 데이터를 백업할 때 해당 시점의 스냅샷으로 복원을 수행한다.

JDBC 개념 정리

1 분 소요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일반 사용자가 사용할 웹 어플리케이션과 DBMS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DBMS별로 소스코드와 기능의 차이가 조금씩 존재한다. 이로 인해 DBMS를 바꾸거나 어플리케이션 제작시 각 DBMS의 특징에 맞춘 작업을 ...

Split()로 문자열 자르기(with 정규식)

최대 1 분 소요

String[] split(String regex) - split()는 정규표현식 혹은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는 기능과 나눈 문자열을 배열로 반환하는 기능을 하는 메서드.

Optional이란?

5 분 소요

Optional public final class Optional<T>{ private final T value;// T타입의 참조변수 } 자바 8 버전에서 추가된 기능 Optional는 T타입 객체의 래퍼 클래스이다. 여기서 T는 모든 종류의 ...

구상 클래스의 개념

최대 1 분 소요

구상 클래스란? new 키워드를 사용해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는 클래스를 구상(Concrete) 클래스라고 한다. 추상클래스가 내부에 온전히 구현되지 않은 멤버 메서드가 있어 new 연산자로 객체 생성이 안되는데 이와 반대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Book boo...

Split()로 문자열 자르기(with 정규식)

최대 1 분 소요

String[] split(String regex) - split()는 정규표현식 혹은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는 기능과 나눈 문자열을 배열로 반환하는 기능을 하는 메서드.

Optional이란?

5 분 소요

Optional public final class Optional<T>{ private final T value;// T타입의 참조변수 } 자바 8 버전에서 추가된 기능 Optional는 T타입 객체의 래퍼 클래스이다. 여기서 T는 모든 종류의 ...

맨 위로 이동 ↑

Spring

의존성 주입(DI)는 어떻게 해야할까?

3 분 소요

DI(Dependency Injection) 제어 역전의 방법 중 하나로 우리가 사용할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컨테이너가 만든 객체를 “주입”받아 사용하는 방식을 뜻한다.

Spring Security 세션 정책

1 분 소요

스프링 시큐리티를 이용해 OAth를 구현하던 도중 java.lang.NullPointerException을 만났다. 정확히는 로그인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Login후 생성된 세션의 Authentication에 Principal 객체를 호출해 사용자의 이름이 뜨느지...

Spring Security filterchain

1 분 소요

FilterChain 스프링 설정을 하기 위해 config 클래스를 만들고 config 클래스로 설정하기 위해 @EnableWebSecurity을 넣어준다. 해당 애너테이션의 속성인 debug를 통해 어떤 필터체인이 통과되는지를 알 수 있다. @EnableWebSecu...

Spring MVC

2 분 소요

MVC 패턴 어플리케이션을 크게 모델(Model, View, Controller)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간의 결합도를 최소화한 패턴 패턴: 어떤 작업을 하는데 있어 수많은 개발자들이 공통되게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

Spring 컨테이너

최대 1 분 소요

Spring Container(IoC 컨테이너) Bean 객체에 대한 생명주기 관리 빈 객체의 인스턴스화, 구성, 생명주기, 제거를 처리한다. POJO의 생성과 초기화, 서비스, 소멸에 대한 권한을 가진다.

Spring 기초 개념 알아가기

7 분 소요

프레임 워크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구조와 구성을 제공 - 프레임워크만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지는 않음

XML 사용법 기초

4 분 소요

XML 사용법 현재는 SPRING에서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DI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오래된 프로젝트나 오픈소스들이 xml파일을 활용해 유지되기도 한다 또한 어노테이션 방법을 먼저 학습할 경우 몇몇 개념들이 머릿속에서 잘 그려지지 않아 이해에 어려움이 있기에 xml부...

Annotation을 통한 DI

5 분 소요

Annotation을 통한 DI Annotation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java의 Annotation를 학습해보자 xml을 이용하는 것 보다 수월하게 DI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프링 어노테이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 Spring MVC 어노테이션 — ...

페이지네이션 적용하기

2 분 소요

Pagenation(페이지네이션)이란? 게시판에서 한 페이지 당 일정한 양의 게시글이 화면에 나오고 page별로 나누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게시글 데이터를 정렬해 놓는 것을 페이지네이션이라고 한다.

Entity와 EntityManager와 EntityManagerFactory

2 분 소요

Entity란? DB에서 테이블과 매칭되는 개념이다 하지만 무조건 테이블 A와 엔티티 A1의 값들이 1대1 매칭이 되는건 아니다. 예로 컬럼이 이름 나이 학력이지만 A1의 변수는 이름, 나이만 있을 수도 있다 혹은 다른 것들이 담길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한 테이...

AOP 개념 정리

2 분 소요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일반적으로 자바에서 중요시하는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는 사용자가 원하는 업무 기반에 로직에만 관심을 둔 프로그래밍 방법론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청하는 업무를 구현, 처리하기 위...

@RestControllr vs @Controller

1 분 소요

@RestController VS @Controller 스프링 MVC 패턴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하고 AOP를 설정해주는 어노테이션들이다.

맨 위로 이동 ↑

React

컴포넌트 컨트롤

1 분 소요

Controlled Components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컴포넌트를 의미한다.

List & Key 활용

최대 1 분 소요

List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배열을 통해 List를 구현한다. const array = [1,2,3,4,5];

Lifting State Up

1 분 소요

Lifting State 여러 컴포넌트에서 공동의 state를 공유하는 방법

Inline 컨디션 이해하기

1 분 소요

InLine code 코드를 따로 작성하지 않고 조건문을 코드 안에 직접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prevState 개념 이해

1 분 소요

prevState 리액트에서는 state의 값을 변경할 때, 바로 state를 초기화하는 것이 아니라 setState()를 통해 변겨해야 한다. 여기서 prevState라는 것은 setState()에 전달한 매개변수를 뜻하는 단어이다. 이 prevState는 setSt...

Event 핸들링

2 분 소요

Event 어떤 하나의 사건을 의미한다. 예로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는 것이 사건, 버튼 클릭 이벤트이다. 이 이벤트를 다루는 것이 Event handling이다.

조건부 렌더링 이해하기

최대 1 분 소요

Conditional Rendering(조건부 렌더링) 조건부 렌더링은 렌더링을 하기에 앞서 특정 조건에 맞추어 렌더링이 달리 하기 위한 개념이다. 조건문을 렌더링이 적용하는 것이다.

Hook 이해하기

3 분 소요

Hook이란? 컴포넌트에는 2가지 클래스, 함수 컴포넌트가 존재한다.

State와 LifeCycle 이해하기

최대 1 분 소요

State 리액트 컴포넌트의 변경가능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는 개발자가 각자 정의해서 사용한다. 주의할 것은 렌더링이나 데이터 흐름에 사용되는 값만 state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 staet 값은 변경될 경우 컴포넌트가 재렌더링되기에 과도할 경우...

컴포넌트와 props의 개념 이해

1 분 소요

컴포넌트 리액트는 컴포넌트들이 모여 페이지를 구성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컴포넌트는 브라우저에서 하나의 부분, 조각의 개념이다. 같은 조각을 여러개 배치할 수도 있고 조금씩 변화를(색이나 크기 등등) 줄 수도 있다. 한 화면에 같은 모양의 객체를 여러개 놓는다고...

JSX 살펴보기

1 분 소요

JSX(JavaScript XML) jsx는 자바스크립트와 xml/html을 합친 개념으로 리액트에서 엘리먼트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리액트의 최소 단위 Element

1 분 소요

Element 리액트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블록 DOM : 웹사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 기존에는 element라고 하면 DOM Element를 의미하였다.

맨 위로 이동 ↑

네트워크

TCP, IP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개념

1 분 소요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TCP/IP 프로토콜 슈트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이 시작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사용...

SSH(Secure Shell)

최대 1 분 소요

Secure Shell SSH란 통신하는 두 대상간의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공개 열쇠 암호기법을 사용한다. telnet, rlogin, rcp등의 프로토콜에서는 통신 데이터가 유출될 경우 모든 정보가 그대로 ...

Putty

최대 1 분 소요

Putty란? 본인의 로컬 PC이외의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SSH(Secure Shell) 프로토콜이 사용되어야 한다. 리눅스와 MAC의 경우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Ex. 로컬 PC) SSH 통신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에 별다른 툴없이 OS에서 제공하는 C...

OSI 데이터 링크 계층

4 분 소요

OSI 데이터 링크 계층 일반적으로 우리가 컴퓨터간에 통신을 할 때는 IP를 기반으로 통신을 한다. ![[Pasted image 20220819224746.png]] 물리 계층이 데이터를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다루었다면 데이터 링크 계층은 소프웨어와 하드웨어 모두의 관점...

OSI 물리 계층

1 분 소요

OSI 물리 계층 네트워크 통신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말 그대로 물리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의미한다. 컴퓨터는 binary 즉 2인법의 전기적 신호로 동작하고 서로 통신한다. 전기신호의 유뮤 즉 1과 0으로만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바이너리 전기신호를 어떻게 전...

OSI 7 계층

2 분 소요

OSI 7 계층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통신의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개념으로 국제 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ion)에서 네트워크 간의 호환을 위해 OSI 7 계층이라는 표본으로 만든 네트워크 모델

MAC 주소란?

최대 1 분 소요

MAC address(Media Access Control) 맥 주소는 컴퓨터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존재하는 컴퓨터의 물리적 주소를 의미한다. 맥 주소는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이더넷 기반 기기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고유한 ID값을 의미한다. 랜카드(...

Service Loader의 개념 이해하기!

2 분 소요

서비스 로더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가 있고 이를 기반으로한 구체 서비스를 다양한 벤더회사에서 만든다. 사용자는 이 인터페이스만 쓰면 되고 어떻게 구현체가 만들어졌는지는 몰라도 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SPI라 부른다.(service provider inter...

맨 위로 이동 ↑

Architecture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란?

2 분 소요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애플리케이션의 기능들을 비즈니스적인 의미를 가지는 기능단위로 묶어서 네트워크에서 공통적으로 쓰는, 어떤 표준화된 호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로 구현하고 이 서비스들을 기업의 업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소...

MSA(Microservice Architecure)란?

3 분 소요

MSA(Microservice Architecure) 마이크로 서비스란? API를 기반으로 통신하는 소규모의 독립적으로 서비스로 배포 가능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로 구성된 프레임워크이다. MSA는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에 용이하고 빠른 속도의 개발...

정적 메서드 팩토리

2 분 소요

정적 팩토리 메서드 자바 기초에서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서 new라는 연산자를 사용하였다. 단순히 [new + 생성할 객체의 클래스]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이와 달리 new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도록 만드는 형식을 정적 팩토리 매서...

맨 위로 이동 ↑

Security

Spring Security 세션 정책

1 분 소요

스프링 시큐리티를 이용해 OAth를 구현하던 도중 java.lang.NullPointerException을 만났다. 정확히는 로그인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Login후 생성된 세션의 Authentication에 Principal 객체를 호출해 사용자의 이름이 뜨느지...

Spring Security filterchain

1 분 소요

FilterChain 스프링 설정을 하기 위해 config 클래스를 만들고 config 클래스로 설정하기 위해 @EnableWebSecurity을 넣어준다. 해당 애너테이션의 속성인 debug를 통해 어떤 필터체인이 통과되는지를 알 수 있다. @EnableWebSecu...

맨 위로 이동 ↑

SQL

정규화의 개념

1 분 소요

정규화 정규화를 쉽게 말하자면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주제별로 나누는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중복 제거, 분할을 통해 데이터를 한군데에 몰아 저장함으로써 발생가능한 문제들을 방지하는 것이 정규화의 목적이다.

맨 위로 이동 ↑

Servlet&JSP

맨 위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