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성 주입(DI)는 어떻게 해야할까?
DI(Dependency Injection) 제어 역전의 방법 중 하나로 우리가 사용할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컨테이너가 만든 객체를 “주입”받아 사용하는 방식을 뜻한다.
DI(Dependency Injection) 제어 역전의 방법 중 하나로 우리가 사용할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컨테이너가 만든 객체를 “주입”받아 사용하는 방식을 뜻한다.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중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TCP/IP 프로토콜 슈트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이 시작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사용...
Secure Shell SSH란 통신하는 두 대상간의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공개 열쇠 암호기법을 사용한다. telnet, rlogin, rcp등의 프로토콜에서는 통신 데이터가 유출될 경우 모든 정보가 그대로 ...
Putty란? 본인의 로컬 PC이외의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SSH(Secure Shell) 프로토콜이 사용되어야 한다. 리눅스와 MAC의 경우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Ex. 로컬 PC) SSH 통신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에 별다른 툴없이 OS에서 제공하는 C...
OSI 데이터 링크 계층 일반적으로 우리가 컴퓨터간에 통신을 할 때는 IP를 기반으로 통신을 한다. ![[Pasted image 20220819224746.png]] 물리 계층이 데이터를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다루었다면 데이터 링크 계층은 소프웨어와 하드웨어 모두의 관점...